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일대일대응
- 부분인쇄
- npn
- MOD
- 펠리칸만년필
- 언젠가 나도 내집을 꾸미겠지.
- 필사용 만년필
- Transistor
- 내돈
- PnP
- 유튜브 서버
- icecreamsundae
- 읽었던 것도 다정리해놔야겠다.
- 유튜브 먹통
- 교류직류
- AC DC
- 필사
- timetimer
- 서버 터짐
- 변수변환
- 미술관 가고싶다.
- timetimermod
- inhaler
- 유튜브 에러
- Pelican
- 꿀팁
- 일대일변환
- 유튜브 서버 터짐
- 본명조와 본고딕 글씨체가 맘에 들어요.
- 다중적분
목록전체 글 (220)
Woooniverse

진동수를 높일 때 감소하는 전압을 가진 게 뭔지 알아내는 문제다. 접근법 1) 진동수를 높이면 축전기의 용량 리액턴스가 감소한다. 회로의 전체저항이 감소한다. 회로의 전체 전류가 증가한다. 저항에 부하되는 전압이 증가한다. 전압의 총합을 맞추기 위해 축전기의 전압이 감소한다. ㄱ이 축전기다. 접근법 2) 진동수를 높이면 축전기의 용량리액턴스가 감소하여 전류가 많이 흐른다. 전자가 왔다갔다를 잘하게 된다? 전압의 기울기가 작아진다. 전류가 빠르게 흐르면 많이 흐르면 저항에 부하되는 전압의 기울기는 커지게 된다. ㄱ은 축전기다. 접근법 2는 그냥 나의 생각이다. 나중에 검증해보자. 그런데 맞는 것 같다.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56&v=NgwXkUt3XxQ&feature=emb_title 어려운 버젼의 설명 http://www.rfdh.com/bas_rf/begin/lc.htm L과 C가 대체 뭐길래... Inductor와 Capacitor는 RF를 하면서 늘 옆구리에 가랭이에 끼고 살아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어째 두리뭉실하게 이해하고 넘어가게 되는 넘들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초심자일수록 "대체 L은 뭐고, C는 뭐냔 말이닷!"이란 푸념을 늘어놓게 되지요. 물론 경험많은 숙련자라면 L이 뭐고 C가 뭔지 피부로 와닿기 때문에 정의한다는 것 자체가 별로 필요없겠지만.. 아직도 L과 C가 대체 뭐하려고 있는 놈인지 아리까리한 분이시라면, 일반..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posted February 15, 2019 누가 나에게 좋아하는 장소를 묻는다면 공항과 서울 중심부라고 할 것이다. 나는 여러 문화권의 바쁘게 사는 사람들 속에서 활력을 얻는 편이고 동기부여를 받는 거 같다. 공항에서 비행기가 지연되어 남는 시간에 지금 드는 생각들을 정리하고 꼭 기억하고 싶어서 글을 남긴다. 내가 더욱더 발전하기 위해 지켜야 할 점 1). 말은 최소화, 행동으로 보여주자. 말로만 떠들고, 겉으로 벌려놓기만 하고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자는 사기꾼이다. 행동으로 옮겨라. 2). 방과 내 주변, 파일 구조는 깨끗하게 내 방도 깨끗하지 않은데 내 할 일이 깨끗할 수 있을까? 내 주변을 항상 깨끗이 하자. 3). 사람들에겐 최소한의 예의만, 내가 좋아하는 사람에게 최대한의 예의를 모든 사람에게..